서울 중구 한국은행 인근 신호등에 빨간색 불이 켜져있다. 임세준 기자 |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우리나라가 서비스 수출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자동화나 인공지능(AI) 도입, 디지털 전환 등으로 제조업과 서비스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추세인 만큼, 제조업 중심에서 탈피해 다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27일 대한상공회의소와 주최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AI 시대' 세미나에서 이런 내용을 포함한 '글로벌 공급망으로 본 우리 경제 구조변화와 정책 대응'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내 제조업 비중(2020년 기준) 27%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14%)의 두 배에 이른다.
아울러 제조업 총산출의 절반 정도가 해외에서 소비되거나 해외 생산 과정의 중간재로 쓰이는 '직·간접 수출품'에 해당한다.
한은은 "경제 내 제조업 비중이 크다는 점에서 중국과 비슷하지만, 수출 익스포저(위험노출액) 측면에서 세계 공급망 교란에 중국보다 더 취약하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서비스업 수출 비중은 16% 안팎으로 글로벌 평균(25%)보다 작다. 2010년 이후 최근까지 한국의 연평균 서비스 수출 증가율(4.6%)도 글로벌 서비스업 성장률(6.0%)을 밑돈다.
한은은 미래 공급망이 중간재 상품보다 중간재 서비스 중요성이 커지고 제조업의 서비스화가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이에 대응하려면 반도체 등의 초격차 기술 선점 차원에서 국제 연구·개발(R&D) 협력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배터리·전기차의 경우 수입선 다변화와 핵심 광물 비축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th5@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