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신용등급 강등 이후 세계증시에 연쇄 폭락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강등 이후 가장 먼저 7일 개장한 중동증시가 급락세를 보였다. 금융시장 관계자들 사이에선 미 신용등급 강등 이후 실질적인 첫 주식거래가 이뤄지는 8일 세계증시에서 ‘블랙 먼데이’가 펼쳐지지 않을까 하는 공포가 형성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서도 일부 투자회사에서 미 신용등급 강등의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어 투자자들을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 투자자들은 증권사들이 투자자들을 더욱 헷갈리게 만들지 말고 솔직해질 것을 주문하고 있다.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 이후 처음으로 7일 문을 연 중동시장에서는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의 종합주가지수(DFM)가 전 거래일보다 3.7% 떨어진 1481.31로 마감, 지난 2월 이후 최고 낙폭을 기록하는 등 연쇄 급락세를 보였다.
이스라엘 TA-100 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6.4% 급락했다. 텔아비브 증권거래소는 개장 전 거래에서 낙폭이 5%를 넘자 정식 개장 시간을 45분 늦췄지만 증시 급락을 막진 못했다. 이집트 주가(EGX30)는 4.7%, 카타르(QE)와 UAE 아부다비(ADX)가 각각 2.5%, 오만(MSM) 1.9%, 쿠웨이트 증시(KSE)가 1.6% 하락했다.
대체로 미국과의 경제교역 비중이 높은 국가들의 하락폭이 크게 나타나 미 신용등급 하락에 대한 우려를 반영했다. 반면 아랍권 최대 규모 증시인 사우디아라비아 증시의 종합주가지수(TASI)는 전일보다 0.08% 오르며 강보합세를 보였다.
시장 참여자들은 70년 만의 미 신용등급 강등 사태가 공포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월요일인 8일 주초 첫 거래를 시작하는 아시아 시장부터 유럽 미국까지 세계 주식시장의 주가가 폭락하고 미 국채 이자율은 급격히 치솟으며 세계 금융시장의 불안이 증폭될 가능성을 염려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CNN머니는 7일(현지시간) 경제학자들과 투자 전문가들은 초기 쇼크는 있을 수 있지만, 신용등급 강등 자체만으로는 시장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라는데 의견을 일치하고 있다고 전해 주목을 끌고 있다.
하버드대의 마틴 펠드스타인 교수는 “투자자들이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어떤 것도 S&P가 (새로) 알지는 못했다”면서 “그렇기 때문에 신용등급 하락이 기대나 이자율을 변화시키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 자체가 이전에 가보지 않은 불확실한 상황이기 때문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단언하기는 힘들다. 미국 씨포트증권의 테드 와이스버그는 “이전에 우리가 겪지 못했기 때문에 무엇이 일어날지에 대해 모른다”면서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이코노미스트인 폴 데일스는 “어떤 시장에서의 부정적 반응도 일시적일 것”이라면서 “먼지가 가라앉고 나면, 경제 펀더멘털 자체에 관심이 다시 쏠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국의 미래에셋증권은 미국의 신용등급 추가하락 가능성을 제시하면서도, 미국이 최고 신용등급을 잃었지만, 미국 국채보유자들의 공조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금융시장에 미치는 충격은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는 희한한 분석을 내놓았다.
미래에셋증권 박희찬 이코노미스트는 8일 “미국은 2년 내 신용등급 추가 하향 가능성이 있지만, 자국보다 부채 상황이 좋지 못한 일본이 `AA‘를 유지한 만큼 향후 10년간 `AA’를 상실할 개연성이 낮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박 이코노미스트는 2011년 미국 정부의 순부채는 GDP 대비 72∼74%인데, 일본은 이미 2003년에 이 수준을 넘었다며 “부정적 시나리오를 적용해도 2021년 미국 정부 GDP 대비 순부채 규모는 101%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서방에서 미국 채권 투자 의지를 보였고 미국채 최대 보유국인 중국, 일본도 공조 의사를 피력할 가능성이 크다. 대체 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미국채 금리가 많이 올라 금융시장에 2차 충격을 줄 가능성은 제한적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벤트 자체가 기분 좋은 것이 아니고 초유의 사태여서 미국채나 달러에 의심이 늘어날 수 있다.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면 신용등급 강등에 따른 금융시장 충격은 조금 길어질 수 있다”고 알쏭달쏭하게 분석했다.
어쨋든 이번 신용등급 강등이 금융시장에 중장기적으로 어떤 변화의 회오리를 몰고올지는 불확실하지만, 일시적인 쇼크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투자자들로서도 신중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