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찾아간 서울 강남구 개포주공 일대는 찬물을 끼얹은 듯 가라앉아 있었다. 아파트 단지 내 상가에 오밀조밀 모여있는 중개업소를 찾던 주택수요자는 종적을 감췄고, 매수의사를 타진해오던 문의전화도 뚝 끊겼다. 매매 호가가 하루동안 수천만원씩 뛰는 등 들썩거렸던 2월 초순 직전의 분위기와는 판이한 모습이다.
개포지구 내 재건축 아파트 단지들이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이 보류되면서 직격단을 맞고 있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9일 강남구가 신청한 도곡동ㆍ개포동ㆍ일원동 일원 393만 7263㎡에 대한 ‘개포택지개발지구(공동주택) 제1종지구단위계획 재정비(안)’ 심의를 보류한 바 있다. 서울시는 심의에서 ’소형주택 비율을 늘리고, 용적률을 하향 조정하라’고 권고했다. 이에따라 개포지구 내 아파트 34개 단지 2만 8704가구를 헐고 최고 높이 50층, 4만가구 규모의 메머드급 단지로 개발하려던 변경안이 장기표류할 것이란 우려가 팽배하고 있다.
서울 강남권 부동산 시장의 지각변동을 몰고 올 개포지구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이 지난 9일 보류되면서 일제히 매매시세가 하향 조정되는 등 일대 부동산시장이 직격탄을 맞았다. 사진은 재건축이 추진되고 있는 개포주공 단지 전경. |
개포동 일대가 일제히 하락세를 기록하면서 강남구 전체 매매변동률까지 끌어내렸다. 닥터아파트가 집계한 강남구의 주간 매매가 변동률(11~17일)은 전주(0.05%)대비 0.10%P 떨어져 수도권 전 지역 중 가장 큰 내림세를 보였다.
또 다른 중개업소 한 관계자는 “사업추진이 가장 빠를 것으로 예상되는 1단지는 재정비안 심의를 앞두고 관심이 쏟아졌지만 지금은 거래는 커녕 문의전화도 뚝 끊겼다”며 “23일 재심의 상정이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보여 당분간 침체가 불가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재개발 호재 기대감에 한껏 부풀어 있던 주민들도 곳곳에서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고 있다. 사업지연이 불가피한데다 서울시가 제시한 소형주택ㆍ장기전세주택(시프트) 확대, 용적률 인센티브 조정 등은 사업성을 떨어뜨리는 ‘악재’이기 때문이다. 주공 1단지 주민 김 모씨는 “위원회의 추가 요구를 반영해 수정안을 만들 경우, 채산성이 악화될 것”이라며 “조합원들의 추가분담금이 늘고, 고급커뮤티니 타운 이미지에도 손상을 입게 돼 주민들 사이에서 불만이 극대화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민현 기자@kies00>kie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