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의 기세가 수그러들었다. 방역당국의 대응도 ‘중심이동’중이다. 축산농정 정상화를 위한 작업들을 조심스럽게 시작하는 모습이다.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이달초까지 확산을 거듭하던 구제역은 지난 7일(부산 사하구) 이후 현재까지 추가 의심신고나 신규 발생이 없다. 설 연휴 이후 현저하게 기세가 꺽인 모습이다.
현재 방역당국은 백신의 항체형성률을 높이기 위한 보강접종(2차 접종)을 진행 중이다. 11일 오전까지 전국 소의 37.7에 대해 2차접종이 완료됐다. 두수가 많은 돼지의 경우 10.5%가 진행중이다. 2주내에는 2차접종이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
축산전문가들은 지금 추세라면 3월 중순경부터는 안정기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도 구제역 사태가 정점을 지났다는 판단하에 후속조치에 나서고 있다.
농식품부는 10일 구제역 발생지역에 대한 이동제한 기준과 방역조치를 조정했다. 축종별로 최근 3주간 발생이 없는 시군에 대해서는 지자체 단위 임상검사후 이상이 없으면 이동제한이 해제된다.
다만 2차접종이 마무리될 때까지 안심하긴 이르다는 판단하에 축산농장에서 발생하는 분뇨는 농장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하거나 저장조에 보관하고 외부로의 반출을 일체 통제하기로 했다.
꽁꽁얼어붙었던 축산물 유통의 재개를 위한 준비도 시작되고 있다. 방역당국은 10일 전국 도축장 89개소 가운데 정상가동중인 71개소에 대한 방역과 소독 실태를 조사했다. 이가운데 일부 지적사항이 있는 10개소에 대해서는 시정 조치를 내렸다. 사료공장 88개소와, 사료환적장 89개, 집유장 25개소와 유가공장 44개소에 대해서도 점검을 했다.
10일까지 전국의 가축시장 85개소 모두가 여전히 폐쇄된 상황이지만, 구제역 후폭풍으로 육류와 유류의 가격이 급등해 서민생활에 부담이 되는 만큼 조만간 단계적으로 정상화 작업이 진행될 전망이다. 이에따라 급등했던 한우와 돼지의 소비자 가격도 10일 각각 11.6%, 6.9% 하락하는 등 다소 진정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백신정책의 특성상 구제역 상황이 완전 종식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관측이다. 해외의 경우 2차 보강접종 완료후에도 일부지역에서 산발적으로 구제역이 발생, 6개월 단위로 백신을 추가 접종한 사례가 많다. 짧게는 6개월에서 길에는 3~4년까지도 구제역 반 비상상태가 이어질 수 있다.
살처분 매몰지의 환경오염 문제 해결에도 적잖은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당정 합의대로 전수조사후 문제가 발견될 경우 재매몰작업과 함께 신규매몰지 확보, 매몰체계 정비, 오염확인 지역에 대한 방역작업 등 추가작업이 이어지게 된다.
<홍승완 기자 @Redswanny>
swa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