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왜 이집트인가...아프리카 진출의 교두보로
우리가 아프리카 국가와의 첫 경제장관회의를 이집트에서 개최한 것은 이집트를 아프리카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삼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집트는 최근 해외자금 유입과 수출확대 등으로 최근 빠르게 성장, 브릭스(BRICs)에 이을 차세대 11개 국가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아프리카 대륙 전체로는 4.3% 성장한 반면 이집트는 5.25% 성장, 아프리카 경제를 선도중이다.

특히 지난 10년과 향후 5년간 성장률에서 이디오피아, 모잠비크, 탄자니아, 콩고, 가나, 잠비아 등 상당수 아프리카 국가들이 10위권에 포진, 아프리카 국가와의 교류 중요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집트와의 교역은 1995년 수교 당시 5억8400만달러에서 2008년 28억7900만달러까지 늘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로 2009년 큰 폭으로 위축됐다가 지난해 28억5800만달러까지 회복했다.

우리의 이집트에 대한 수출은 95년 4억7000만달러에서 지난해 19억9000만달러로 4.3배 증가했다. 주요 수출품목은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이며 최근 합성수지와 중장비가 부상하고 있다.

이집트는 작년 기준 우리나라의 수출대상국에서 36위(총수출의 0.4%)이며, 우리나라는 이집트의 9대 수출대상국(총수출의 4.3%)

이다.

이집트로부터의 수입은 95년 1억2000만달러에서 2009년 8억6000만달러로 7.5배 늘었다. 원유와 석유제품이 대부분이다.

이집트에 대한 무역수지는 지난해 11억31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서로간의 투자는 미미한 수준이다.

수교 이후 이집트에 대한 투자는 누계기준으로 1억3000만달러에 그치고, 이집트의 우리나라에 대한 투자는 336만달러에 불과하다. 한국의 아프리카 전체 투자에서 이집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2005년 이후 10%이하로 줄어들었다.

이집트는 최근 나일강 삼각주와 서부 사막 지역을 중심으로 천연가스 발굴에 성공했고, 현재 세계 50여개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는 등 성장 잠재력이 높다.

이집트는 2017년까지 1000억달러 상당의 발전소와 변전소를 건설하고 2020년까지 전력생산의 20%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할 계획이다. 이번달에는 원전 1기(1000MW급) 에 대한 입찰이 실시되며 지하철 전동차량 추가 구매(180량)도 개시된다.

우리 정부는 한-이집트 경제장관회의를 정례화하는 한편 남아공, 나이지리아 등 성장 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 국가와의 경협 채널 확보 등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한편 윤증현 재정부 장관은 19일(현지시간) 이집트 카이로에서 부트로스 갈리 이집트 재무장관과의 오찬에서 ‘스핑크스 퀴즈’를 인용해 이집트와의 경제협력 필요성을 역설해 눈길을 끌었다. 윤 장관은 또 “아몬드(Almond)가 죽으면 무엇이 될까 생각해보니 정답은 다이아몬드(Diamond)였다”는 재치있는 농담으로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했다.

<김형곤 기자 @kimhg0222>
kimh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