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가격담합’으로까지 불리던 이런 움직임은 아파트 가격이 상승세를 타던 시기에 나타나던 현상. 이에 따라 지난해 하반기 이후 주택 가격이 바닥을 친 뒤, 본격적인 회복세로 돌아서면서 이런 현상이 다시 나타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까지 낳고 있다.
4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경기도 광명시의 한 아파트 단지의 입주자 카페에서는 매물을 모두 거둬들일 것을 독려하는 내용의 게시글이 게제되고 있다. 수도권의 다른 지역에 비해 현저히 가격이 낮게 형성돼 있는 현실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일단 매물이 모두 사라져야 한다’는 내용의 주장이 담겨져 있다.
‘제값을 찾아야 한다’는 또 다른 제목의 게시글에서는 아예 구체적으로 각 면적별 적정 가격을 제시하며 해당 가격 이하로는 매물을 내놓지 말아야 한다는 내용의 주장이 담겨져 있다.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일정가격 이하로 아파트를 팔지 말자는 가격담합이 수도권 대단지 아파트를 중심으로 다시 나타나고 있다. 사진은 2006년 당시 한 아파트에 내걸렸던 ’가격담합’플래카드. |
‘아파트 제값 찾기 운동’과 ‘아파트 가격담합’이라는 상반된 평가를 받는 이런 움직임은 과거 2006년에서 2007년 사이 아파트 부녀회를 중심으로 수도권 등지에서 성행했었다. 또 부녀회들이 적극적으로 행동에 나서면서 당시 가격이 일부 상승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이로 인해 정부에서는 해당 단지를 ‘집값 담합 아파트’로 규정하고 대대적인 단속을 벌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에 나타나는 움직임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과거와 같은 집값 상승 효과를 얻기는 힘들것이란 데 전문가들의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주민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자산 가격을 지키려는 움직임은 이해한다 하더라도, 아직은 서울과 수도권 집값이 본격적인 회복세로 돌아서고 있지 않은 상태로, 신규 수요층의 유입이 미미하기 때문이다.
업계의 한 전문가는 “가격을 통제하려는 주민들의 시도는 외부에서 집을 사려는 수요가 유입되는 가운데, 주민들이 매물의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을 때에야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아직은 아파트 시장이 호황기로 접어든 상황이 아니어서 주민들의 ‘제값 찾기 운동’은 성공하기가 쉽지 않은 현실”이라고 분석했다.
<정순식 기자 @sunheraldbiz> sun@heraldcorp.com